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 | 우리 아이 함께 키우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가족 희생양이 경험하고 있는 정서적 고통 | 희생양으로 지정된 자녀가 그의 가족을 쉽게 떠나지 못하는 이유(박수홍과 장윤정의 삶) 학부 때 교수님께서 '학습된 무기력' 이론을 가르쳐주시며, 서커스단의 코끼리 이야기를 해주신 적이 있다. 대초원에서 자유롭게 뛰놀던 아기 코끼리는 괴팍한 서커스 단장의 눈에 띄어 작은 오두막에 갇히게 된다. 코끼리는 강한 철기둥에 묶여 좁디좁은 이 오두막에서 벗어나려 발버둥쳤으나 그의 모든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발목에 채워진 쇠사슬로 인해 깊은 상처만 남게된다. 일주일, 열흘, 한 달... 발목 하나가 너덜너덜해진 코끼리는 더 이상 탈출을 시도하지 않고 생기 잃은 눈을 하고는 그저 서커스 단장이 주는 지푸라기를 먹으며 하루하루 그의 명령에 순응하는 삶을 살게 된다. 시간이 지나 서커스 장소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단장은 코끼리를 묶어둘 곳이 없어, 작은 못에 얇은 줄을 임시로 걸어 코끼리 발목을 채웠다... 더보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가족 희생양이 뭔가요? | 가족들이 항상 저를 문제아 취급해요. "희생양은 원래 고대 예루살렘에서 속죄의 날에 유대교의 사제가 내린 두 마리의 양 가운데 하나를 의미한다. 하나는 히브리 신인 여호와를 위한 것으로 희생제물로 죽임을 당하였고, 다른 하나는 악의 영혼이었던 아사셀을 위한 것으로 희생양이라 불렸다. 사제는 사람들의 죄를 고백할 때 그의 손을 희생양 위에 얹었다. 그러고 나서 희생양을 광야로 놓아 주었다. 이것은 죄가 없어졌거나 용서되었다는 것을 상징하였다. 오늘날 누군가를 가리켜 희생양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그가 다른 사람의 잘못에 대해 비난을 대신 떠맡는다는 것을 의미한다(Porton, 1988)." 1. 희생양화란 무엇인가? 악의 요소들이 눈에 보이는 형태로 구체화되는 것. 특정의 매체에 악의 요소가 실리는 과정. 자신의 죄책감과 고통을 집단의 한 사.. 더보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아이들은 왜 놀이를 하는 건가요? | 놀이가 중요한 이유(놀이의 기능과 창조성) 아동기의 놀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 놀이의 기능 놀이는 본능적인 욕구 충족과 해소, 큰 인상을 남긴 경험들을 숙달하는 아이들의 적절한 방식이다(Freud,1920). 놀이는 대상에 대한 가학적 소망을 대체하고 소멸에 대한 불안을 피하고자 하는 유아기 자위 판타지(infantile masturbation fantasies)를 외부로 표출하는 기능이 있다(Melanie Klrin, 1929). 놀이는 아이들의 방어 작용과 자아 적응을 위한 역량을 발달시킨다(Anna Freud, 1965). 놀이는 아이들이 성인 역할을 경험해 볼 수 있게 해 주고, 사회적 현실을 알아감에 따라 그 역할들을 교정하도록 도와준다(Erikson, 1937). 놀이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 발달을 촉진시킨다(Winnic.. 더보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유아기 수면교육| 우리 아이가 잠드는 걸 어려워해요 아이가 잠에 드는 것은 불안한 시간이 아닌 즐거운 과정이 되어야 합니다. 부모님은 조용한 환경에서 그날 하루에 대해 이야기해주거나 책을 읽어주며 잠드는 과정에 함께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간은 조용하고 차분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해진 저녁과 홀로 잠드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아이를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이의 수면 리듬을 체크하고, 일정한 수면 습관을 들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 전에 하는 아이만의 정적인 습관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취침 전 이 닦기,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 잠옷으로 갈아입고 책 읽기, 부모님과 이야기하는 시간 갖기 등과 같은 일련의 절차를 습관화함으로써 잠자리의 드는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편안하게 잠들기 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더보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청소년기 거식증| 아이가 먹는 걸 거부해요, 아이가 자꾸 먹고 토해요 거식증이란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이라 불리기도 하며 음식 먹는 일을 지나치게 거부하는 것을 뜻한다. 거식증 진단기준(DSM-Ⅳ-TR) 자신의 나이와 키에 비해 체중을 최소한의 정상수준이나 그 이상으로 유지하기를 거부하는 것이다(진단기준 A). 체중이 미달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나 살찌는 것에 대한 강한 공포심이 보이는 경우이다(진단기준 B). 자신의 체중과 체형을 지각하는 방식에 장애가 있어, 체중이나 몸매가 자기평가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거나 현재의 체중미달에 대한 심각성을 부정한다(진단기준 C). 월경이 시작된 여성의 경우, 초경 후에 적어도 3회 연속으로 월경이 없는 경우가 해당된다. 이때 에스트로겐과 같은 여성 호르몬을 투여한 후에만 월경이 나타난다면 무월경증이가로 간주된.. 더보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유아기 아이가 느끼는 수치심(shame) | 자기애적 욕구의 좌절 수치심(shame)이란 무엇인가요? 자아(ego)와 자아이상(ego ideal) 사이에서 생기는 내적인 긴장의 결과입니다. 자신이 자아이상에 다다를 수 없는 자신에 대한 실패감 혹은 부적절감으로부터 비롯됩니다. 자기(self)의 결함에 대한 반응으로, 타인으로부터 거절당하거나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내재화되어 있습니다. 과대적 자기(grandiose self)가 인정과 지지를 잘 받지 못했을 때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죄책감과 수치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죄책감: 부정적 평가의 대상이 자기가 아닌, 자기가 했거나 하지 않았던 "행동"과 관련이 깊습니다. 수치심: 자기가 부정적인 평가의 주요 대상으로, 죄책감보다 더 직접적으로 "자기"와 관련된 것입니다. 수치심은 왜 발생하나요? 자기대상의 .. 더보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ADHD 충동성의 종류와 개입방법 충동성이란 무엇인가요? ADHD의 주요 양상은 크게 과잉행동(산만함), 충동성, 부주의함으로 구분됩니다. 오늘은 이 중 충동성에 대해 알아볼텐데, 충동성은 과잉행동에 비해 좀 더 오래 지속되며, 다음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1. 언어적 충동성 큰 소리로 경솔하고 불쾌한 표현들을 나열하며, 협박적인 어투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말들을 늘어 놓습니다. 예를 들어, 언어적 충동성이 높은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가 좌절되었을 때, “내가 죽어버리면 엄마 마음이 편하겠지. 이럴 줄 알았으면 어제 죽어버릴 걸.”등과 같이 대상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파괴하는 형식으로 협박하며 대상을 통제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습니다. 학교나 학원에서는 “선생님 때문이에요. 엄마한테 말해서 여기 당장 끊어버리라고 말할 거예요.”.. 더보기
article_rep_thumbnail_raw_url 유아기 식습관 지도,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아이가 밥을 잘 안 먹어요, 아이가 편식이 심해요 아이와 함께하는 식사시간이 전쟁 같은 부모님들 많이 계시죠. 편식이 너무 심해 특정한 음식이 아니면 입에도 대지 않거나 곧바로 뱉어버리는 아이, 입이 짧아서 먹는 양 자체가 적은 아이, 부모님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먹여줘야 하는 아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으실 거예요. 유아기는 일생동안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잘못된 식습관은 아이들의 신체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예를들어, 소아비만의 경우 가족 습관에 의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성인기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주변의 부정적인 시선으로 인해 심리적인 어려움도 경험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이토록 중요한 유아기 올바른 식습관 지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서툴더라도 아이들이 스스로 하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