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 | 우리 아이 함께 키우기

아이들은 왜 놀이를 하는 건가요? | 놀이가 중요한 이유(놀이의 기능과 창조성)

반응형

아동기의 놀이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

 

아동기 놀이의 중요성

 

놀이의 기능
  • 놀이는 본능적인 욕구 충족과 해소, 큰 인상을 남긴 경험들을 숙달하는 아이들의 적절한 방식이다(Freud,1920).
  • 놀이는 대상에 대한 가학적 소망을 대체하고 소멸에 대한 불안을 피하고자 하는 유아기 자위 판타지(infantile masturbation fantasies)를 외부로 표출하는 기능이 있다(Melanie Klrin, 1929).
  • 놀이는 아이들의 방어 작용과 자아 적응을 위한 역량을 발달시킨다(Anna Freud, 1965).
  • 놀이는 아이들이 성인 역할을 경험해 볼 수 있게 해 주고, 사회적 현실을 알아감에 따라 그 역할들을 교정하도록 도와준다(Erikson, 1937).
  • 놀이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 발달을 촉진시킨다(Winnicott, 1968).

 

1) 원본능, 자아, 초자아의 상태

  • 놀이는 욕동, 초자아, 외부세계 사이를 중재하는 자아 역량의 변화를 촉진하고 반영한다(신체→장난감→놀이→일).
  • 아이의 놀이 주제는 욕동 구조(drive organization)와 대상관계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 놀이 양상들은 그에 상응하는 자아가 가진 역량(기억, 현실 검증력, 상징화, 언어, 운동기능)의 발달에 따라 결정된다.

 

2) 현실의 유보: 현실 검증과 상상하기

  • 놀이는 판타지와 현실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한다(Freud, 1908).
  • 현실 유보란, 아이가 현실과 놀이를 구분할 수 있고, 놀이 속의 활동들은 현실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미리 가정하는 것이다(Freud, 1908).
  • 놀이와 판타지 간의 주요한 차이는 놀이에서는 ‘현실 유보’를 위해 무대를 마련하고 그 장에서 행동한다는 점이다(Waelder, 1937).
  • 판타지를 행동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생각한다면, 아이들에게 놀이는 판타지를 시험해 보는 활동이다.

 

3) 대상관계: 놀이에 대한 부모의 태도

대상관계

  • 놀이란 아이가 엄마와의 관계에서 최초에 느낀 전지전능감(영아기에 자신이 모든 것을 마술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을 반복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 놀이와 대상관계의 또 다른 측면은 부모가 아이의 놀이를 지지하고 반응해 주며 확장시켜 주는지와 관련이 있다.
  • 부모가 아이와 노는 능력 또한 중요한데, 플라우트(Plaut, 1979)는 어린 시절에 자유롭고 즐겁게 놀지 못했던 부모는 자신의 아이와 놀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4) 아이와 성인에서 놀이가 놀이 외의 다른 기능과 맺는 관계

  • 놀이는 놀이 외의 다른 영역에서의 발달을 준비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 놀이에서의 상상력은 미래의 삶에서 기능적이고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생산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5) 놀이와 사회적 적응

  • 아동은 분석가와의 놀이를 통해 일상생활에 더욱 적응적인 방법을 배워나간다.
  • 아이들은 놀이라는 안전지대에서 다양한 상황과 문제의 해결을 검증하며 현실에서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개발할 수 있다.
  • 놀이는 사회적 또는 적응적인 면에서 체계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가장놀이를 이용하는 능력은 충동조절 능력을 증진시키고, 각성을 유지하며 기능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된다.

 

 

놀이와 창조성

창조성

  • 놀이에서 아이들은 창조적인 작가처럼 행동한다. 자신의 세계를 창조하거나 자신을 즐겁게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본인만의 세상을 재정렬한다(Freud, 1908).
  • 놀이를 통해 얻는 즐거움은 성인이 되면 백일몽(꿈)을 꾸거나 유머 및 농담을 통해 얻는 즐거움으로 바뀌며, 동기는 소망 충족에 있다.
  • 창조성이란 새롭고 독창적이며 창작적인 무엇인가를 만드는 활동이나 능력을 의미하며, 이를 규정하는 것은 그 결과물이 아닌 독창적인 성질 그 자체에 있다.
  • 아이들의 초기 상상 놀이와 성인의 예술적 창조성은 자신의 경험을 반복하려는 경향에서 기원한다.
  • 창조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들은 감각 자극에 대한 민감성, 다양한 자극에 공감할 수 있는 기질과 해당 자극들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능력, 상징을 표현할 수 있는 감각운동 능력을 가지고 있다.
 

 

[참고도서] 놀이, 그 경이로운 세계, 마음이 자란다 |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Albert J et al., 199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