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 | 우리 아이 함께 키우기

가족 희생양이 뭔가요? | 가족들이 항상 저를 문제아 취급해요.

반응형

 

가족희생양


"희생양은 원래 고대 예루살렘에서 속죄의 날에 유대교의 사제가 내린 두 마리의 양 가운데 하나를 의미한다. 하나는 히브리 신인 여호와를 위한 것으로 희생제물로 죽임을 당하였고, 다른 하나는 악의 영혼이었던 아사셀을 위한 것으로 희생양이라 불렸다. 사제는 사람들의 죄를 고백할 때 그의 손을 희생양 위에 얹었다. 그러고 나서 희생양을 광야로 놓아 주었다. 이것은 죄가 없어졌거나 용서되었다는 것을 상징하였다. 오늘날 누군가를 가리켜 희생양이라고 말할 때, 그것은 그가 다른 사람의 잘못에 대해 비난을 대신 떠맡는다는 것을 의미한다(Porton, 1988)."

1. 희생양화란 무엇인가?

  • 악의 요소들이 눈에 보이는 형태로 구체화되는 것.
  • 특정의 매체에 악의 요소가 실리는 과정.
  • 자신의 죄책감과 고통을 집단의 한 사람에게 전가하여 그로 하여금 그 짐을 짊어지게 하는 것 .


1) 가족희생양

  • 가족에서 희생양이 된 개인은 가족의 긴장을 다른 데로 돌리고 그들의 결속의 토대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을 함.
  • 부모들은 문제가 있는 결혼관계에 화합을 유도하기 위해 자녀 중 한 명에게 대인관계상의 긴장과 갈등을 투사함.
  •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희생양이 되어 온 자녀는 모든 가족 구성원의 고통에 대해 책임을 느끼고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 신체 및 정서적으로 가족 내에 머물러 있기를 바라게 됨.
  • 한 가족 성원이 다른 가족원(희생양)을 미치게 만들거나 문제를 일으키도록 한다면, 그는 자신이 갖고 있던 광기나 문제행동에서 벗어나게 됨.
  • 자신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그들은 무의식적으로 한 명의 나약한 자녀를 선택하고 지명하여 그 아이를 가족희생양으로 이용함.


2) 가족 상호작용

  • 가족체계상호작용 속에 있는 인지/정서/행동적 과정을 가진 사람들의 질서를 의미하며, 이러한 가족체계 내에는 환경 및 물질, 에너지를 교환하는 수많은 방식과 스타일이 있음.
  • 정서적으로 결정된 가족의 기능화가 한 가족의 정서적 분위기 혹은 영역을 만들며, 이것이 다시금 각 개인의 정서적 기능에 영향을 미침(Kerr & Bowen, 1988).
  • 감정, 신념, 태도 이외에 '호혜적인 기능'도 가족체계 내에서 다양한 기능적인 위치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 중요하고도 결정적이다("가족의 한 구성원이 살아나면 다른 구성원은 죽는 것 같았다.").
  • 어떤 부모들은 자신들이 풀어야 하지만 미처 풀지 못한 많은 심각한 갈등이 있을 때, 한 명의 자녀를 차출하여 '문제아'로 만듦.



2. 희생양을 만드는 긴장의 원천


1) 문화적 가치 지향

  • 서로 다른 가족적 배경을 가진 부부가 만났을 때나 잘못된 이유, 가령 혼전임신이나 또래집단의 압력 또는 원가족으로부터의 도피를 위한 수단으로 결혼을 한 경우 가족의 결속력은 의심스러울 수 있음.
  • 어떠한 타협도 하지 않은 채 가족이 다른 가치체계를 제치고 어느 한 가지 신념을 선호하여 택하는 경우 갈등은 불가피함.


2) 비대칭 가족과 분열된 가족

  • 비대칭 가족: 보통 아버지가 약한 배우자가 되어 강한 배우자인 아내의 통제를 받아들이며 이에 저항하지 않는 부부관계 특성을 보임.
  • 분열된 가족: 부부관계가 만성적인 적대감과 상호 위축이라는 특징을 지님.
  • 이러한 결혼생활에서 야기된 긴장은 경직된 부모 역할에 붙잡혀 있는 자녀들에게 문제를 초래함.
  • 즉, 자녀가 부정적 관심의 대상이 되며 이후 희생양의 역할을 떠맡게 됨.


3) 삼각관계

  • 삼각관계: 가족 내 긴장과 불안 수준이 높아 부부가 처리할 수 없을 때, 그 긴장을 줄이기 위해 제삼자(자녀)가 끼어드는 것.
  • 삼각관계는 해당 관계가 깨진 이후에도 오랫동안 개인을 무능력하게 만듦.
  • 가족의 정서체계와 함께 갖게 된 혼란으로 지적/정서적 분화의 정상적인 과정은 억제되고 방해받게 됨.
  • 아이가 삼각관계에서 빠져나갈 우려가 있는 어떠한 성장도 가족의 항상성을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자녀는 가족체계의 요구에 종속되게 됨.
  • 문제가 무엇이든지 희생양이 된 사람은 나머지 가족과 함께 가족의 항상성을 유지함.
  • 비록 그 항상성이란 것이 불행과 괴로움을 의미한다 할지라도 그러한 관계는 보통 서로 엉켜있으며 분리되기보다는 고통 속에 함께 묶여있는 경우가 많음.



3. 희생양의 선정


1) 희생양의 선정

  • 대개 가족 희생양으로 가장 상처받기 쉬운 인물인 자녀가 이용될 가능성이 높음.
  • 자녀를 희생양으로 삼는 것은 주로 무의식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데, 그 이유는 자녀는 상대적으로 무력한 입장에 있으며, 가족을 떠날 수도 없고 부모의 우월한 권위에 대들 수 없는 의존적인 위치에 놓여있기 때문임.
  • 희생양으로 선정되는 자녀의 특성: 가족들이 나약하다고 생각하는 아이, 성별과 출생순위에 영향, 지능지수가 낮거나 신체적 기형으로 고통을 겪거나 매젹적이지 않은 아이.


2) 역할 부과

  • 희생양으로 선정된 자녀는 야기되는 긴장과 불안에 극도로 예민해져서 관심을 끌기 위해 나쁜 짓을 하거나 완벽한 자녀 역할을 하는 식으로 반응함.
  • 나쁜 짓을 함으로써 자녀는 가족이 다른 기장에서 벗어나게 하고 가족에게서 느끼는 고통과 분노를 자신에게 성공적으로 돌릴 수 있게 함.
  • 그러한 자녀의 행동은 가족체계가 균형을 잃을 때 자신이 느끼는 불안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임.
  • 그는 가족의 긴장을 매우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잘못된 행동이 가족 내 긴장을 줄이는 데 기여하는 한 그 행동을 반복할 것임.
  • 희생양이 된 사람은 심한 긴장을 드러내며 정상적인 발달과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지만, 가족을 위해 필수적이고도 남이 대신할 수 없는 기능들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됨.
  • 어떤 자녀는 집을 떠남으로써 자신에게 부여된 역할에서 벗어나는데, 과도한 긴장을 지난 가족의 경우 다음으로 이용 가능한 자녀가 부부 갈등을 분산시키기 위한 희생양으로 차출됨.



4. 희생양 역할로의 유도


1) 불일치

  • 불일치의 가장 흔한 형태는 암시적 혹은 명시적으로 자녀를 그 역할로 유도하는 방식임.
  • 처벌하겠다고 말해놓고는 실행하지 않는 것, 처벌을 지연하는 것, 자녀의 증상에 유별난 관심을 보이는 것, 경계없는 애정, 부부 양육태도의 불일치, 미묘한 부부간의 적대적인 신경전 등이 이에 해당함.


2) 기대

  • 기대는 한 사람을 희생양의 역할로 유인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부모들은 자녀에게 엄격한 것을 원치 않는다고 말하면서 자신들의 암시적인 기대를 합리화할 수 있음.
  • 아이가 부모들의 암시적인 메시지를 듣고 문제가 되는 방식으로 행동하자마자 부모는 아이가 진짜로 문제인 것처럼 취급할 수 있음.



5. 희생양화의 합리화


1) 부모의 피해자 의식

  • 부모들은 희생양이 된 아이의 행동을 고의적이고 나쁘다고 보는 경우가 많음.
  • 그들 대부분은 문제 자녀에게 혼을 내고 엄하게 벌을 줄 필요가 있다고 느낌.
  • 그들은 자신이 특정 자녀를 희생양으로 만드로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며, 그들 자신을 문제 자녀가 저지르는 나쁜 행동의 '피해자'로 간주함.


2) 이성 자녀에 대한 애정과잉

  • 어떤 의미에서 부모가 특정한 자녀와 갖는 전반적인 상호작용은 자주 접하기 힘든 배우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킴.
  • 역기능적인 가족의 경우 가족의 균형유지가 필수적인데, 이는 사실상 '무장태세를 갖춘 휴전'이며 폭발의 위험이 아주 큰 상태라고 할 수 있음(Vogel & Bell).



6. 희생양화의 기능과 역기능


1) 기능

  • 성격과 가족체계를 안정화시키는 힘으로 작용함.
  • 부모들이 심각한 개인적 갈등이나 부부간의 갈등을 겪을 때 이러한 갈등을 자녀에게 투사하는 것은 결혼생활에 필요한 자존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됨.
  • 일반적으로 자녀 중 한 명을 희생양으로 만드는 부부는 그렇게 하지 않고는 가족을 파괴시킬 수도 있는 문제와 불안을 줄일 수 없음.


2) 역기능

  • 자녀는 오랫동안 부여된 역할을 수행해 온 결과, 성격에 엄청난 손상을 입게 됨.
  • 어떤 경우 희생양화의 기능이 '집단으로서의' 가족에게는 유용하다고 말할 수 있을 지 몰라도, 아이의 정서적 건강과 외부세계에 대한 적응 및 근본적인 가족 건강을 위해서는 역기능적임(근본적 문제해결을 지연시킴).



[참고서적] 가족희생양이 된 자녀의 심리와 상담(Pillari, 2008).

2022.07.25 - [Study/parent education | 우리 아이 함께 키우기] - [가족상담] 가족 희생양이 경험하고 있는 정서적 고통 | 희생양으로 지정된 자녀가 그의 가족을 쉽게 떠나지 못하는 이유(박수홍과 장윤정의 삶)

 

[가족상담] 가족 희생양이 경험하고 있는 정서적 고통 | 희생양으로 지정된 자녀가 그의 가족을

학부 때 교수님께서 '학습된 무기력' 이론을 가르쳐주시며, 서커스단의 코끼리 이야기를 해주신 적이 있다. 대초원에서 자유롭게 뛰놀던 아기 코끼리는 괴팍한 서커스 단장의 눈에 띄어 작은 오

spring-melod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