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고단한 하루, 마음이 쉬었다 가는 곳. 맘정원입니다.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 학습량은 많아졌는데 습관은 하나도 잡혀있지 않고. 숙제할 시간만 되면 아이와 전쟁과 같은 시간을 보내고 계신 부모님. 그래서 오늘은 학령기 ADHD 아이를 위한 학습지도 방법 6가지를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공부를 시작하기 전, ‘하던 일을 멈추는 것’부터 연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아무리 좋아하는 것을 하더라도, "STOP" 사인이 있을 때는 멈춰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야 합니다.
- 부모가 “멈춰라.”했을 때 하던 일을 멈추면 곧바로 강화(칭찬, 물질적 보상)해주어야 합니다.
- "하던 걸 멈추고 엄마 얘기 들어줘서 고마워.", "중간에 멈추는 게 쉽지 않았을텐데 바로 집중했네. 최고야!"
둘째, ADHD 아이는 외적보상 없이는 행동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 ADHD 아이들은 외적 강화의 시간이 또래보다 오래 지속됩니다.
- 부모가 함께 아이 스스로 공부가 잘 되는 혹은 숙제를 하길 원하는 적절한 시간을 찾아주세요.
- 보상(강화)은 용돈, 간식, 장난감, 스티커, 외식 등이 될 수 있으며, 어느정도 습관화 되었을 때는 보상 없이도 학습패턴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셋째, 공부 중에 쉽게 산만해지는 아이들에게는 ‘머릿속 대장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은 자기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고 제어하는 데 필요한 종합 인지 능력을 뜻합니다. 즉, 학습 목표를 위한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유지하며 감독 및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이러한 집행기능은 훈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 아이들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이미지화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 아이에게 '머릿속 대장'이 있음을 알려주세요 → 숙제를 시작하지 못하거나 미루고 산만해지는 모습을 보일 때 '머릿속 대장'이 사라졌다고 알려주세요 → '머릿속 대장'이 다시 지시를 내려서 활동하게끔 알려주세요.
- 이러한 이미지 시각화 트레이닝은 아이들의 자존감을 보호하면서 스스로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넷째, 아이가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주세요.
- 숙제할 때 필요한 학용품은 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책상 위에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공부할 때는 반드시 주변 기기들(TV, 휴대폰, 컴퓨터 등)을 끄고 주변을 단조롭게 만들어주세요.
- 공부하는 시간(25분 집중, 5분 휴식)은 일정하게 정하고 공간은 분명하게 분리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 아이가 문제를 실수로 계속해서 틀릴 경우, 문제 해결 방법 3단계를 제시해주세요.
1단계) 문제 읽기: 문제를 정확하게 큰 소리로 읽었나?
2단계) 문제 풀기: 질문에 따른 문제를 풀었나?
3단계) 답 확인: 답을 제대로 썼나?
- 단계별로 점검하는 것을 부모님과 함께 반복적으로 연습해 주세요.
- ADHD 아이들의 경우, 새로운 과제를 익힐 때까지는 옆에서 부모님이 함께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섯째, 학습량을 절대적으로 줄이고, 학습 목표를 점진적으로 늘려주세요.
- ADHD 자녀를 위한 가장 중요한 공부법은 '학습량을 절대적으로 줄이는 것‘입니다.
- 과제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것이 중요한데, 학교 숙제를 중점으로 사교육에서 오는 숙제를 절대적으로 줄이고 질적으로 효율적인 학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목표를 정할 때는 처음부터 많은 양을 많은 양을 하기 어려운 아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양은 적지만 정확하게 제대로 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 이후 아이가 기존의 학습량, 시간, 공간에 익숙해지고 습관화 됐을 때 양을 조금씩 늘려가며 아이의 수행변화에 초점을 두고 충분히 격려해주세요.
그럼, 오늘도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하루 보내시길 바라며
고단한 하루, 마음이 쉬었다 가는 곳. 맘정원이었습니다 :)
[참고도서] 흔들리지 않고 ADHD 아이 키우기(이영민, 2015) | 출판사: 팜파스
반응형
'부모교육 | 우리 아이 함께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적 허기짐] 하루종일 먹을 거 찾는 아이 (1) | 2023.05.09 |
---|---|
[좌절 인내력] 너무 쉽게 포기하는 아이 (1) | 2023.04.27 |
[항상성 놀이] 분리불안을 느끼는 아이들이 반복하는 3가지 놀이 (1) | 2023.04.15 |
[ADHD] 새 학기 담임 선생님과 상담할 때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하나요? (0) | 2023.04.04 |
[더 글로리] 박연진이 문동은을 괴롭히고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이유 (4) | 2023.03.22 |